『 한독교육학연구 』 제1권 1호 (1996. 12)

 

김정환 : Die funf Hauptthesen in der Padagogik J. H. Pestalozzis - 1

정영근 : 인간교육과 교육학 - 11

정영수 : 발도르프 교육학의 이론과 실제 - 33

구경선 : 마리아 몬테소리의 정신사적 배경연구 - 51

정유성 : 대안교육의 어제, 오늘 그리고 앞날 - 69

이옥분 : 한국 사회교육의 역할과 과제 - 113

이상오 : 21세기 정보화시대의 사회교육, 산업교육, 인간교육의 관계, 과제, 전망 - 125

김기홍 : 문화중심사회에서 문화교육의 결손에 관한 고찰 - 147



『 한독교육학연구 』 제2권 1호 (1997. 12)

 

김기홍 : 여가문화교육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과 이해연구 - 1

김춘경 : 아동의 정상화를 위한 교육치료적 고찰 - 25

노상우 : 지역주민의 사회교육진흥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- 43

손승남 : 전기연구와 교육학 - 63

안관수 : 독일의 대안교육 - Hibernia Schule를 중심으로 - 81

이명환 : 유럽연합(EU)의 보육 및 유아교육 - 103

정영수 : 페스탈로치의 『탐구』에 나타난 이상적 인간상에 관한 연구 - 127

홍종관 : 독일어권의 인간중심 상담 및 심리치료에 관한 고찰 - 139

곽노의 : 독일의 유아교육제도와 현황 - 153



『 한독교육학연구 』 제3권 1호 (1998. 12)

 

Lenz : Bildungsideal : Fexibilitat - 3

고경화 : 잊혀진 차원 - 예술교육의 구성작업 - 11

김기홍 : 독일 직업교육훈련의 실태와 우리나라의 과제 - 27

김융자 : 정보화 시대 교육학의 과제 - 39

박종대 : 신인문주의와 고전주의 - 57

손승남 : 정보화 사회의 학교장의 역할에 관한 연구 - 99

이옥분 · 안태윤 · 김부태 : 교육자치 활성화와 지역사회 사회교육기관의 역할 - 129

정기섭 : 직업교육과 일반교육 - 187

정영근 : 일반교육의 이념과 현대적 의미 - 199

정영수 : 독일통이이후 교육통합의 문제점 분석 - 213

정윤경 : 발도르프학교 교육과 한국의 대안교육 - 237

최종인 : 개혁교육학과 아동으로부터의 교육학 - 247

이은선 : 슐라이에르 마허의 종교교육론 - 한국사회와 교육을 위한 의미와 시사 - 259



 『 한독교육학연구 』 제4권 1호 (1999. 8)

 

최종인 : 교육학의 기본개념으로서의 사회화 - 1

안이환 : 평생학습을 실현하는 교육공간 : 독일 계속교육의 발달과정 - 15

양숙형 : 기술의 발전 - 계속교육 필요성이 주된 요인인가? - 33

고경화 : 기술의 진보는 교육의 미래를 보장하는가? - 47

손승남 : 21세기를 대비한 인성교육의 철학적 구성 - 67

김춘경 : 아동의 병리적 성격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응석의 생활양식과 병리적 성격 - 85

최은미 : 독일과 한국의 부모교육 - 105

임남숙 : 미술교과에서의 초등학교 교사 자질 향상을 위한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- 129

정여주 : 인지학적 관점에서 고찰한 교육적 미술치료 - 149

민경훈 : 학교 음악교육에 있어서 도식악보의 활용 - 165



 『 한독교육학연구 』 제4권 2호 (1999. 12)

 

Elke Heller : Zu zentralen theoretischen Grundlagen des Situationsansatzes - 1

엘케 헬러 : 상황중심교육의 이론적 근거 - 13

정혜영 : 학교교육학(Schulpadagogik)의 학문적 성격과 의미 - 23

정영수 · 노상우 · 김창환: 통일 후 독일의 국민통합을 위한 교육정책 연구 - 41

김창환 : 헤르바르트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- 91

김기홍 : 국제문화교육의 학문적 이해 연구 - 113

정기섭 : 스포츠교육학의 학문적 독자성에 관한 연구 - 131

노상우 : 청소년 국제이해 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새로운 방향 - 147

홍종관 : 초등학교 아동의 정신건강과 인성발달을 위한 심리교육 프래그램의 개발 및 적용(II) - 163

박명순 :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- 193



 『 한독교육학연구 』 제5권 1호 (2000. 10)

 

Elke Heller : Zur Entwicklung des Situationsansatzes - 1

헬케 헬러 : 상황중심 유아교육의 역사 - 9

윤선영 : 독일 상황중심교육의 한국적 적용을 위한 분석 - 15

정영수 : 독일의 학교교육 개혁운동에 관한 연구 - 39

정기섭 : 평화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- 63

손승남 : 민주시민의식 고양을 위한 새로운 교육방법의 모색 - 81

김기홍 : 직업교육에서 교사의 전문성과 자질에 관한 연구 - 99

최윤정 · 김춘경 : 청소년의 자아상태와 공격성의 관계 - 115

윤재흥 : 전통주거에 반영된 조화적 자연관과 환경교육적 시사 - 139



 『 한독교육학연구 』 제6권 1호 (2001. 4)

 

J. Zimmer : Der Situationsansatz und die Wiedervereinigung Deutschlands - 1

B. Drink : Pestalozzis Bild der Mutter - 17

B. 드링크 : 페스탈로치의 어머니 상(像) - 29

고윤주 : 청소년기 초기의 부모-자녀 및 친구관계 - 39

고인아 : 독일 여성 재취업교육의 분석 - 57

김기홍 : 시계열 분석법을 통한 실업계 고교로의 진학 수요 전망과 정책적 시사점 - 89

정혜영 · 김창환 : 학교교육학을 통해 본 초?중등학교의 의미와 과제 - 117

정영근 : 세계화 시대 상호문화교육의 목표와 과제 - 143

정영수 : 독일 학교교육에서의 평화교육 - 163



 『 한독교육학연구 』 제6권 2호 (2001. 10)

 

고인아 : ‘경제적 전환기’의 독일 시민대학의 변화 양상과 역할 연구 - 1

변보기/강석기 : 청소년의 행동요인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- 23

서수경 : 독일과 한국의 가족교육 비교 연구 - 사회정책적 차원 - 43

손승남 : 교육자치의 본질과 학교운영위원회의 활성화 방안 - 69

최재정 : 캄페(Joachim Heinrich Campe)의 박애주의 교육사상에 나타난 “교육과 정치”의 관계 - 95

한영란 : ‘영성’의 교육적 의미 - 123



 『 한독교육학연구 』 제7권 1호 (2002. 4)

 

김영래 : 지식과 도야 -막스 셀러의 지식사회학의 도야론적 함의 - 1

정기섭 : Herman Nohl의 “교육학적 자율성”이론에 관한 고찰 - 17

조상식 : 위리엄 제임스의 의식이론에 대한 학습이론적 고찰 - 31

강상희 : 발도르프 교육학을 둘러싼 독일 교육학계의 논쟁 - 55

이옥분 : 독일의 사회교육 시설사 - 시민대학 발전사를 중심으로(1871-1960년대) - 77

조운주 : 유아교육 실습지도교사 교육방향 - 101



 『 한독교육학연구 』 제7권 2호 (2002. 10)

 

정기섭 : Herman Nohl의 역사-해석학적 교육학에 관한 연구 - 1

정영수 : 정신과학적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에 관한 연구 - 17

박정순 · 김춘경 : 사회적 관심 증진 프로그램이 아동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검증 - 33

안관수 : 기능주의적 관점에서 본 학업성취에 대한 비판적 연구 - 59

채기화 : 가족주의적 한국사회에서 장애와의 대면작업 - 79

김기홍 : 다학문적 차원에서 직업윤리의 가능성에 대한 논구 - 97

정계영 : 한국 유치원 교사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 - 117

이상오 : 『문화산업』: 교육가능성의 탐구를 위한 역사·해석학적 접근 - 139



 『 한독교육학연구 』 제8권 1호 (2003. 4)

 

정기섭 : Herman Nohl의 학교이론에 관한 연구 - 1

김창환 : 통일 전 동·서독 학교 통일교육의 이념과 실상 - 17

조상식 : 普遍論爭과 교육학 -계몽주의와 新인문주의의 논쟁에 나타난 인간 주체형성의 문제 - 47

이인화 : 19세기 낭만주의 음악교육에 대한 문화사적 접근 - 65

정영근 : 중등교사의 교육적 의미와 역할과제 - 89

김문섭 : Die Jugend in der leistungsorientierten Schule und ihr abweichendes Verhalten - 109

윤선영 : 발도르프 문자교육의 유아를 위한 한극 교육에의 적용 가능성 - 131

노상우 · 황신택 : 신화의 현대 교육적 의미 - 161



 『 한독교육학연구 』 제8권 2호 (2003. 10)

 

김창환 : Was ist das "Allgemeine" in der Allgemeine Padagogik? - 1

            -교육철학의 의미와 과제 -

김기홍 : 독일 직업학교 교사양성교육의 실태와 최근 개혁 동향 - 27

노상우 · 신병준 : 코메니우스의 교사상 연구 - 45

정혜영 : 발달적 교육인간학과 인간 이해 - 67

박용석 : 20세기 초 신교육운동의 국제주의적 성격 - 신교육협회(N.E.F.)의 활동을 중심으로 - 93

김송일 : 평준화 정책의 가능성과 한계 - 117

Ko, Kyung-Hwa : Mimetischer Weg zur selbstbildenden Welt bei Th.W. Adorno - 139



『 한독교육학연구 』 제9권 1호 (2004. 4)

 

김재건 : 듀이의 경험론에 기초한 교수-학습과정의 대안 모색 - 1

Lee, Sang-O : Die erste Mission der Hochschulen bei E. Spranger - 21

최종인 : 발도로프교육학(Waldorfpadagogik)과 인지학(Anthroposophie) - 39

이제봉 : 대학교육의 환경변화와 대학정책의 과제 - 53

조상식 : 교육철학의 연구주제로서 ‘肉體로의 復歸’ - 연구동향에 관한 개관 - 77

이은선 : 우리 시대와 페스탈로치 - 혁명이후 세대를 위한 페스탈로치의 정치적, 교육적 대안 - 97



 『 한독교육학연구 』 제9권 2호 (2004. 10)

 

김기홍 : 실업계 고교에서 좋은 학교 사례 연구에 관한 연구 - 1

김송일 : 대안학교에 대한 일고 - 27

노상우 : 학업중단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전략 - 45

서수경 : 가족해체에 관한 한국?독일 비교 연구 - 65

신병준 : 마틴 루터가 근대 인간교육사상에 미친 영향 - 91

정기섭 : '좋은 학교‘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- 113

채기화 : 정신지체아동의 사춘기-이해와 태도의 전환을 위하여 - 133



 『 교육의 이론과 실천 』 제10권 1호 (2005. 4)

 

강상희 : 포스트모던 사유 논리의 교육적 적용 가능 영역 탐색 - 1

김상무 : 통일독일의 통일교육 권고안과 서독의 통일교육 지침 비교 연구 - 31

김은정 : 인지적 학습양식의 개념적 모형 정립 - 51

김 철 : 교육현상으로서 “교육적 인간관계”이론에 대한 연구 - 71

변보기 : 청소년 여가실태 및 여가장애수준에 관한 연구 - 95

            -대전시 고교생을 중심으로 -

손승남 : Kompetenzentwicklung im Lehrberuf - Empirische Untersuchung zur

            “unterrichtsbezogenen Professionalitat der Lehrberufs(UPL)” in Korea - 129

윤선영 : 독일의 유아교육 현황과 개혁 방향 - 147

황신택 : 맘교육의 가능성 탐색 - 173



 『 교육의 이론과 실천 』 제10권 제2호(2005. 10)

 

김경순 : 20세기 초 독일 미술교육운동에 대한 고찰

이영훈/김성수 : 부정 진술문을 포함한 자기통제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

김송일 : 자립형 사립 고등학교의 과제와 전망

김 철 : 개혁교육운동과 H. Nohl의 교육사상

양은주 : 미국 진보주의 시대의 교육개혁운동

최재정 : 현대 체계이론의 교육학적 적용가능성 탐색

-일반체계이론, 사이버네틱스 이론, 자생적 체계이론을 중심으로-



 『 교육의 이론과 실천 』 제11권 제1호(2006. 4)

 

김성봉: 인간주의의 가치와 학교교육의 방향

김철: 대학의 이념과 21세기의 대학교육

김형수/김흥규: 초,중,고 및 대학생들의 열등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

민정숙/정영수, 한국사회의 갈등과 평화교육의 방향

원계선/정경희/이진숙: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유아의 장애이해지원전략에 관한 고찰

윤선영: "교육예술"로서의 교육과 "예술가"로서의 교사에 대한 고찰 -발도르프유아교육 관점에서



 『 교육의 이론과 실천 』 제11권 제2호(2006. 10)

 

강사채: 대화의 교육적 의미-하버마스와 구성주의를 중심으로

김철: 대학이념의 역사적 변천과정과 21세기 대학이념에 대한 고찰

노현희/이길동: 탐구중심 과학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

변보기/전은석: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및 가족지원에 관한 연구

윤기종/손민호: 대안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대안적 범주탐색

이길동: 평가인증제를 대비한 보육시설 운영실태 연구 -대구지역을 중심으로



 『 교육의 이론과 실천 』 제12권 제1호(2007. 4)

 

김은정: 정의적 학습양식의 개념적 모형 정립

김인숙/주연희: 유치원 교육과정의 통합적 운영시 교사에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

김주일: 독일 약물정책에서의 패러다임 전환

김철: 부버(Buber)의 "나-너의 대화적 관계론"에 비추어 본 몬테소리(Montessori)의 "교육적 인간 관계"이론에 관한 고찰

김태선/김천기: 교육부문에서 사회자본에 관한 연구동향과 과제

박보영: 좋은 학부모 역할 정립을 위한 고찰

박성희: 프랑크푸르트 노인대학 사례를 통한 대학 확장교육으로서의 노인교육 활성화 방안

박용석: 서구 대안학교의 효시, 에보츠호움과 비데일즈 학교 연구

배을규: 일터 학습이론의 한계와 방향 -세 가지 실천기반 학습이론의 관점에서-

손승남: 뮌헨 영재성 유형모델(MHBT)의 적용 가능성 탐색

우정길: 지향적 교육행위의 한계 또는 교육학의 경계적 속성, 그리고 대안적 사유에 대한 일 고찰

정영근: '사이'의 세기와 상호문화 교육



 『 교육의 이론과 실천 』 제12권 2호(2007.12)

 

고경화: 교육의 평등성과 수월성 관계 논의

김인홍: 가족정책의 발상전환

안관수·이연호: 고등학교 학생의 국어 학습방법에 관한 연구

윤선영: 유아를 위한 발도르프식 수학교육 모델 제시

이길동·김호년: 사회변화에 따른 독일 유아교육기관 운영 사례고찰 -현장중심으로-

전용환: 학교장의 인적 특성을 활용한 학교 조직풍토 개방성 증진방안

정영근: 독일 중등교사 양성교육체제 개혁 -개혁의 내용과 평가 그리고 시사점-

정윤경: 반성적 교사교육에서 ‘반성’의 의미

조순이: 음악과 신체표현 교육에서의 즉흥연주 -귄터학교, 오르프 및 케트만의 정신을 중심으로-

최재정: J G. 피히테의 『윤리론 체계 1798』에 나타나는 ‘행위주의(activism)’와 그 교육학적 의미



『 교육의 이론과 실천 』 제13권 1호(2008. 4)

 

김영래: 교육원리로서의 자기보존 -루소 교육관의 현대적 재음미-

김용국·정영수: 야스퍼스의 ‘사회적 실존’개념의 교육적 의미

문승태·안미화: 초등학교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인센티브 요인 타당성 연구

변보기: 미국 아동정신건강정책의 주요내용과 한국적 함의

손승남: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독일어권 국가의 대학개혁 동향

이상오: 지식의 생성과정과 지식교육의 방식에 대한 반성적 고찰 -포스트모던 지식관을 중심으로-

이진숙: 단순 언어장애 아동이 성격특성과 관련된 일반 지식과제에서 보이는 수행특성

임수진·이혜원: 심미적 접근을 통한 유아교육과정의 재개념화

정영근: 글로벌 경쟁시대의 교직관과 교사의 역할 -시대비판적 성찰과 전망-

정은정·진선미: 공무원 교육과정의 교수설계 모형 개발 및 적용



 『 교육의 이론과 실천 』 제13권 2호(2008. 10)

 

고은: 실어증 환자의 인지적 특성 연구

김태선: 대중문화 UCC와 교육적 함의

노상우 박은희: Rousseau의 자녀교육관 연구

모상현: 미디어 자극 특성이 문화간 정서 체험에 미치는 요인 및 효과 탐색과 교육적 함의

박혜영: 기업에서의 무형식 학습에 영향을 주는 조직 맥락적 요인에 관한 연구

송경섭: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근무실태 및 업무 관련 문제분석

윤선영: 도야에 대한 독일의 사회적 요구와 발도르프유아교육계의 전략적 대처

윤혜영: 교사의 역할 수행에 있어서 인격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

이진숙 원계선: 만4세, 6세 아동의 어휘이해력 수준에 따른 개인화된 정서이해 및 정서 원인 추론능력

정석환: 포스트모던 합리성의 정당화와 그 교육적 의의

정주경 정여주: 집단 미술치료가 여고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

조상식: 19세기 서구 시민계급의 교육문화 형성과정-가족개념의 변화를 중심으로



『 교육의 이론과 실천 』 제14권 1호(2009. 4)

 

김영래: 발라우프(Th. Ballauff)의 도야개념

박응희 이병준: 노인교육 담론에 대한 교육학적 탐구

부성숙: 도덕적, 사회-관습적, 개인적 상황에 대한 유아와 어머니의 개념 비교

손승남: 평생학습도시 추진현황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 방안-전남지역 평생학습도시를 중심으로

안관수 백현기: 디지털교과서의 유비쿼터스 특성요인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

이인화: 성서에 나타난 자연관의 생태교육적 함의

이혜원 임수진: 유아교사의 성격 특성(Big 5 model)과 정서적응성이 정서노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

이흔정: 교사지식의 교수학적 변환 연구

정영근: 학교의 이중 언어수업과 상호문화교육-독일 베를린의 공립학교 이중 언어수업 실험모형을 중심으로

정윤경: 인지학의 특성과 교육적 의미

정혜영: E.Key의 '어린이로부터의 교육학'의 성격-어린이의 세기를 중심으로



『 교육의 이론과 실천 』 제14권 2호(2009. 10)

 

모상현, 김미영: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내,외재적 변인탐색과 보호요인 효과에 관한 연구

박영미, 엄정애: 유아지리교육 내용 및 교수-학습 방법의 문제점 개선을 위한 연구

이명환: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유형이 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

전숙경: 『장자』 「내편」을 통해 본 의사소통에 대한 교육적 이해 -학습자의 전환이 드러나는 대화편을 중심으로-

정기섭: 독일의 사회통합을 위한 이주 외국인 자녀의 교육지원 현황 및 시사점 분석

정여주, 강준기, 이승정: 옥상정원을 활용한 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유아의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

정영근: 학교 상호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준거와 실례 -독일의 학교수업 사례를 참조하여-

정창호: 세계화의 도전과 상호문화 교육



『 교육의 이론과 실천 』 제14권 3호(2010. 12)

 

노상우, 이혜은: 배려윤리가 중학교 도덕과(道德科) 교육에 주는 함의

박선영, 김회용: 듀이 이론을 통해 파악한 립맨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특징

신소영, 강명희: e-PBL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습자 성취목표, 보상구조, 귀인피드백의 예측력 규명

이명환: 유아안전교육의 연구동향 분석

정기섭: 독일의 사회통합을 위한 이주 외국인 지원 대책 사례 및 시사점 분석 -"통합코스(Integrationskurs)"와 "청소년이주지원센터(JMD)"를 중심으로-

정여주: 유아 정서에 따른 색 연상과 선호색

정혜영: PISA 이후 독일 초등학교 교육 개혁 탐구 -개혁의 현황, 의미, 시사점-



 『 교육의 이론과 실천 』 제15권 1호(2010. 4)

 

윤선영: PISA 이후 독일의 유아교육 개혁 동향 및 한국 유아교육에서의 시사점 분석

류윤석, 이나영: 유아 다문화교육의 현황 및 교육적 지향점

이상오: “학생”에 대한 Gadamer의 존재론적 이해 -인식론적 접근의 한계를 넘어서-

이숙정: 중도,중복장애학생 학교교육 현황에 관한 일고찰

이지수, 심현애, 김경연, 이강성: 증강현실 기반 학습프로그램이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: Keller의 동기설계 모형을 적용한 초등과학 학습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

정영근: 세계화시대 비교교육학 연구의 문제와 과제 -국제교육정책 비교연구의 문제점을 중심으로-



 『 교육의 이론과 실천 』 제15권 2호(2010. 8)

 

고은: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교육지원 체계 구축을 위한 모형제안

김철: Durkheim의 교육이론에 나타난 인간관에 대한 비판적 고찰

노상우, 권희숙: Buber와 Levinas의 “관계의 철학”에 내포된 교육적 함의

박보영: 청소년 통일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관점 전환의 필요성 -학습자의 체험을 중심으로 한 자기주도학습으로-

손승남: 지속가능한 미래, 삶의 질 그리고 생태교육

오경희, 김회용: 입학사정관제의 합리적 기준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제언: 부산지역 교사들을 중심으로



『 교육의 이론과 실천 』 제15권 3호(2011. 12)

 

강경석 , 강희경: 학교장의 자율성, 학교장의 책무성, 교사의 임파원먼트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인과관계 분석

김상무: 1978년 서독 통일교육지침 결정 이후 중등 역사교과서의 동 서독 서술 비교 연구

김은정: 저학년 초등학생의 학습양식과 교사가 지각한 학교적응의 관계

방소영, 부성숙: 유아교육기관의 "교육과정 영역" 평가지표 비교연구: 유치원, 보육시설, NAEYC, QIAS

엄선희, 정영근: 훔볼트 언어관과 한국의 언어교육: 중등학교 국어과 수업을 중심으로

오창진, 김회용: 배움공동쳬와의 비교를 통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교육방법론 개선 방안

정기섭: 독일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생성 및 전개

정영근: "도상적 전환"의 교육학적 의미: 그림 인간학, 그림적 지식 그리고 교육학

조상식: "볼로냐 프로세스"와 독일 고등교육개혁

주영주, 정애경, 임연욱, 김가연: 전문대 학생의 강좌에 대한 자기효능감, 유용,용이성, 몰입 및 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



 『 교육의 이론과 실천 』 제16권 1호(2011. 4)

 

김성애: 일반교육 현장에서의 특수교육대상자 인권 보장을 위한 교사의 과제

우정길: 교육철학 연구동향 국제비교 -미국, 영국, 한국, 독일 (2005-2009)

윤선영: 발도르프교육의 생태적 요소와 생태교육적 의미

정창호: 독일의 상호문화교육과 타자의 문제

정혜영: 케이(E. Key)의 학교개혁론 탐구: 초등교육적 의미



 『 교육의 이론과 실천 』 제16권 2호(2011. 8)

 

우정길: 대화교육학의 주체철학적 이해에 대하여 -현상의 진단과 극복을 중심으로-

임규연: 집단탐구(Group Investigation) 협동학습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, 협력적 자기효능감, 학업 성과의 관계

정기섭: Kerschensteiner의 노작교육사상에서 본 유아생태교육의 과제

정영근: 독일 초등학교의 상호문화교육 -교육 내용, 교수방법 및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-

조순이: 동화오페라 "헨젤과 그레텔"을 활용한 <즐거운 생활>의 주제중심 수업 사례연구



 『 교육의 이론과 실천 』 제16권 3호(2011. 12)

 

강경석, 고광혁: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 미치는 교사효능감과 학교조직몰입의 매개효과

멜쩌, 코니, 성정경: 협력적 접근을 통한 개별화교육계획의 구안과 실행 (KEFF):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-교사인식을 중심으로-

이상오: 사립대학의 설립 이념과 실천에 대한 "교육학적" 고찰 -포스텍(POSTECH)의 설립자 박태준의 사례에서-

이숙정: 고통과 장애에 대한 윤리적 논쟁 -중증 장애 신생아의 삶을 중심으로

이혜원, 임수진: 어린이집 교사의 동기부여자아개념과 정서지능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

정기섭: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점에서 본 상호문화역량

정영근: 학교 상호문화교육과 교사의 역량

홍은영: 칸트의 성숙함의 개념에서 사회적 책임의 의미-칸트의 이성개념을 중심으로



 『 교육의 이론과 실천 』 제17권 1호(2012. 4)

 

드링크, 바바라: 전체성과 자부심 -박애주의 교육의 초석-

금귀혜, 부성숙: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리더십 유형, 정서지능이 원장-교사 간 교환관계(LMX)에 미치는 영향

김주일: 약물예방에서 성숙한 약물사용능력 형성으로 -독일 청소년 약물중독예방의 역사적 발전-

정창호: 한국 교육개혁에 빌레펠트 실험실학교 (Laborschule Bielefeld)가 주는 시사점

정혜영: 어린이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탐구의 의미 -Bollnow와 Langeveld를 중심으로-

최규진: 미술치료의 비언어 매개체를 통한 의사소통 특성 고찰



『 교육의 이론과 실천 』 제17권 2호(2012. 8)

 

김경주, 김기홍, 박경선: 도립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지지, 진로결정수준 및 학업적 자아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

김철, 하봉운: 독일 대학부설학교의 기능과 역할에 관한 역사적 연구

박성희: 좋은 농촌학교 특성에 관한 사례 연구

이상오: 루소의『에밀』에 대한 교육철학적 해석: 인권문제와 관련하여

정영근: 페스탈로치의 방법원리(Methode)에 대한 교육학적 평가와 의미



 『 교육의 이론과 실천 』 제17권 3호(2012. 12)

 

김상무: 고등학교 평화교육내용에 대한 비판적 논의 -도덕 및 사회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-

엄미리: 대학 교원의 역량 분석을 통한 교수지원 프로그램 방향성 제고: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(TPACK)을 중심으로

원계선: 장애통합보육 경험 여부에 따른 일반유아의 장애 이해와 놀이동반 수용

이만표: 중,고등학생들의 열등감과 좌절증후군, 성적(性的)건강, 성형중독과의 관계 연구

정창호: 연습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고찰 -Bollnow의 견해를 중심으로

조희연: 영화 "존재와 소유(Etre et Avoir)"에 나타난 프랑스 유초등 단일학급 교사 발문의 교육적 함의

홍은영: 다양성에 대한 독일 교육학 연구동향의 비판적 개관



『 교육의 이론과 실천 』 제18권 제1호(2013. 4)

 

정영근: 국가ㆍ사회적 요구와 개별성 함양 사이의 학교교육-한국 학교교육의 문제를 중심으로

김철: H. Nohl의 교육학 이론 관점에서 본 학교교육의 시사점

윤선영: 베를린 유아교육프로그램의 적용과 실천

이상오: 해석학적 비교연구:루소의 ‘소극적 교육’과 칸트의 ‘적극적 교육’

노상우/황혜연: 유럽학교의 지속가능발달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분석-유네스코 협동학교를 중심으로

김성애: 누리과정 해설서와 교사용 지침서에 나타난 윤리적 특성 및 발달지체 유아의 교육적 의미 고찰

정은: 한국 교육의 수치(Shame) 문화 속에 잠재된 폭력성에 관한 성찰

김은정: 한ㆍ미 초등학교 교육 특성에 대한 국제교육실습생의 인식 분석

서진상/강경석: 교사 리더십, 교사 효능감, 팀-구성원의 교환관계(TMX)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관계



 『 교육의 이론과 실천 』 제18권 제2호(2013. 8)

 

김상무: 1989~1990년 동·서독 교육통합 과정에 관한 연구 -초·중등 학교교육을 중심으로-

최재정: 니체의 ‘주체성’ 논쟁이 ‘현대’의 교육, 교육학에 주는 시사점

임황룡/양은주: 학생의 흥미 발달과 창조적 민주주의: 듀이 교육론에 대한 기초적 탐색 한국, 부성숙: 미국(NAEYC), 호주(QIAS)의 유아교육 기관 평가 지표 비교 연구:‘건강·안전 영역’ 중심으로

김은숙: 숲체험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주관적 태도 분석: Q-방법의 적용



 『 교육의 이론과 실천 』 제18권 제3호(2013. 12)

 

정영근: 역량 개발 시대 학업성취의 교육학적 의미 -역량중심 교육논의 및 교육체재 개편에 대한 비판적 고찰-

윤선영: 베를린의 어린이보육시설 평가에 대한 사례 연구

우정길: Hannah Arendt의 "탄생성"의 교육학적 의미

홍미주, 박선영, 김회용: 학교교육에 대한 고대-근대 철학과 탈-근대 철학의 관점 비교 -"차이", "생성", "자기-배려" 개념을 중심으로-

최규진: 미술치료에서의 그림(Bild)과 그림 시각화 과정에 대한 고찰

조상식: 1924~1925년 한스 리헤르트(Hans Richert)의 학교개혁에 대한 비판적 고찰

정영근: 미래에 대한 책임과 교육학

호후에민: 후쿠시마의 핵 재앙 이후 대만 교육학 분야에서 반응과 성찰

쇼코스즈키: 후쿠시마-이후 그리고 "Panbiontologie" -Panbiontologie 관점에서 본 후쿠시마 사태 이후 교육적 과제-

정기섭: 지속가능성의 이념과 미래를 위한 교육의 과제



 『 교육의 이론과 실천 』 제19권 제1호(2014. 4)

 

홍은영: 인종주의 비판과 백인성(白人性) 연구(whiteness studies) 고찰을 통한 세계화교육의 방향

정영근: 교원양성교육의 전문화와 대학의 교양교육

이혜원: 유아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

노상우, 진상덕: 라캉의 정신분석에서 본 주체형성과정과 교육학적 함의

김만재, 부성숙: 사회-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유아의 초기수학능력

지하나, 이숙정: 중도,중복장애 아동에 대한 "정동적(精動的) 의사소통 평가(ACA)" 실행연구



 『 교육의 이론과 실천 』 제19권 제2호(2014. 8)

 

정창호: "위험사회" 에서의 교육의 책임과 역할에 대한 성찰

이상오: 독일의 학교민주주의와 시민교육에 대한 연구

박종배, 조상식, 임광국: 교육 공공성(公共性)의 측면에서 본 독일의 교육정책

이현주: 초,중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과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

김혜온, 김수정: 한국과 독일 예비교사들의 교직에 관한 신념

홍은영: 역사적 관점에서 본 근대적 아동기 개념 이해

힐렌브란트, 클레멘스, 멜쩌, 코니, 성정경: 독일의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교육: 최근 논의 동향 및 쟁점 고찰



『 교육의 이론과 실천 』 제19권 제3호(2014. 12)

 

김철: 방과후학교로서 독일 전일제학교(Ganztagsschule)의 이념과 시사점에 관한 연구

김상무: 통일 전과 후 독일분단사 서술 비교: 1980년대와 2000년대후기중등학교 역사교과서를 중심으로

채희태: 특수교육의 성찰과제로서 인종주의와 장애인차별

홍은영: 비판적 주체 형성을 위한 성숙(Mundigkeit) 개념 연구 -아도르노와 하이돈의 개념과 푸코의 권력담론을 중심으로-

정은: 무기력의 심리에 관한 신경과학적 접근

신민정: 복잡성 이론이 지식사회의 교사 역할에 주는 함의

전숙경: 대화를 통한 교육의 관점에서 본 청소년 언어문화의 문제

이숙정: 중도, 중복장애 학생 교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현황 연구

김혜온: 아동놀이에 미치는 문화적 영향: 동아시아와 서구북미 문화권의 비교


『 교육의 이론과 실천 』 제26권 제1호(2021. 4)

 

김상무: 한국과 독일의 학교 민주시민교육 비교 연구-교육과정과 공식문헌 비교를 중심으로

이태영, 위르겐 헬름헨, 김대현: 사회과학적 교육 연구의 한계극복을 위한 계몽 학습의 제고-공동체적 요구와 개별성 사이의 긴장관계를 중심으로

임환미, 윤선영: 스킨십을 위한 어루만져주는 손동작놀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

정은선, 강구섭: 학교 통일교육 내용으로서 도덕‘윤리 교과의 독일 통일 내용 고찰


『 교육의 이론과 실천 』 제26권 제2호(2021. 8)

 

김승용: 독일의 (비)장애인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소고-한국 교육제도에 주는 시사점

신동은: 볼로냐 프로세스 회원국의 역량기반 고등교육 운영 사례 및 시사점 분석 : 영국과 아일랜드 고등직업교육 사례를 중심으로

이정숙, 채수은: 청소년 정서조절에 관한 최근(2011~2020년)국내 연구 동향

주현정: 독일의 베를린 액티브 시니어(Active senior)세대 학습자들의 사회참여를 위한 고등평생교육 모델의 사례를 통한 시사점

홍성수: 다양성과 포용에 관한 독일의 교육담론 고찰 


『 교육의 이론과 실천 』 제26권 제3호(2021. 12)

 

권영웅, 채수은: 온라인 마음챙김 프로그램 COVID-19시대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불안,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

김상무: '보스텔스바흐 합의(Beutelsbacher Konsens)'를 토대로 한 학교 통일교육 수업가이드라인 연구

김은정: 온라인 대학수업을 위한 4단계 플립러닝 개발 및 적용 사례

이정숙: 학교 상담에서 게슈탈트 심리치료의 '빈의자대화'의 적용 가능성 탐색

정은: 내곁의 우리삶-구체의 과학으로서 교육인문학

홍세진, 장영호, 전다은, 정영근: 한국의 교육적 인간상과 인간 개별성의 문제